본문 바로가기
MONEY/생활경제(재테크 Tip)

청년 버팀목 전세자금(금리최대1%대)

by 웅모오닝 2024. 6. 17.
반응형

 

 블로그를 시작하며, 첫 주제로 무엇을 정할까 고민하다가 결국 주거의 문제가 가장 크다고 생각되어 선정하였다. 청년들에게 그리고 현재 살아가고 있는 나에게 주거의 안정을 어떻게 해결하느냐가 삶의 질과 마음의 여유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그만큼 중요한 문제이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접하는 대부분의 재화의 가격은 가늠이 가능한 수준이다. 샤넬 명품백이 몇백만원대를 호가하여 입이 쩍 벌이지지만 누구든 마음만 먹으면 사는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부동산의 매매, 전세, 월세 등은 금액단위가 크고 직접 와닿지 않는 부분이 많아 오히려 지레포기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는 로또를 구매한다던가 큰 돈을 어디 한번에 벌 수 없나 기웃거리기만 하게 되고, 그도 모자라 부자들의 라이프를 보며 부러워하며 시간을 허비한다.

 

 돈을 벌고 재테크를 통해 불려나가는 것은 생각보다 더 부지런해야 하며, 작은 것 하나에도 신경을 써야한다. 그에 대한 첫걸음이자 가장 쉬운 방향이 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지원금을 활용하는 것이다.

 ※ 앞으로 정책지원금 등의 정보를 계속해서 포스팅 예정

 

  지원금의 종류는 크게 세가지로 구분된다.

  1. 목적에 맞게 사용하여 정산을 해 반환사유가 소멸

     ex) 한국산업안전보건 클린사업장 조성사업

  2. 목적에 맞게 사용하고, 일정기간 정해진 조건을 유지하면 반환사유 소멸

    ex) 입지시설 보조금, 투자보조금

  3.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낮은 이자(금리)로 자금대여

    ex) 버팀목전세자금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은 3번에 해당하는 지원금으로써

주택도시기금(https://nhuf.molit.go.kr)을 통해 신청하여 승인받으면 필수불가결한 주거의 고정비용 축소가 가능하다.

일반전세자금대출 대비 비용절감은 적게는 한달 통신료가, 많게는 한달 식비가 절약된다.

 

 아래의 해당 요건을 요약하였다. 정보들을 취득하고 자신이 처한 상황을 정확히 진단한 후 버팀목전세자금 대출을 실행하여 비용을 줄일 수 있기를 바란다.

 

 

1. 대출대상(아래요건 모두 충족)

 

   ㅇ 1단계:

     - 무주택자이면서 세대주(예정자 포함)인 자로, 소득기준과 신용도 등 상황에 따라 전세자금대출의 대상자 요건이 정해지고 있으니, 동 자금의 대출대상이 되는지를 검토하여야 한다. 처음 접하였을 때는 생소하고 복잡한 기준처럼 느껴지지만 순서에 따라 요건에 해당되는지를 잘 살펴보면 충분히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대다수의 정책자금의 대출대상에는 세부요건만 달라질 뿐 큰 흐름에서 비슷한 점이 많기 때문이다. 이 기회에 자신이 어떤 대상인지를 점검하여 향후에 적절히 활용하는 것으로 추천한다.

 

 

2. 대상주택

 

   ㅇ  2단계:

    - 전용면적 85㎡이하는 공급면적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일반적으로 말하는 아파트 국민평수를 말하는 33~34평을 말한다. 예시로 공급면적이 111㎡인 경우 전용면적은 84.55㎡ 방식으로 표기하고 평수를 말할때는 공급면적 기준으로 계산하니 참고하여 대상 주택을 물색하면 된다. 1평은 3.305785㎡ 이나 어림셈을 하면 대략적인 평수계산이 쉽다. 방법은 간단하다. 현재 공식적으로 평수는 오해를 막기위해 공식적으로 사용하고 있지는 않다.  또다른 버팀목 전세자금 대출의 대상주택 기준은 임차보증금 3억원 이하이다. 서울에서는 웬만한 곳의 임차보증금 3억원 이하를 찾기엔 거의 불가능에 가깝지만 그외 지역 대표적으로 부산만 하더라도 충분히 가능범위에 있는 물건을 찾아볼 수 있다.

 

<평수 어림셈 방법>

(공급면적 * 3) /10 정도로 감을 가지면 좋다.

위의 공급면적 기준으로 계산하면 따로 111*3/10이므로, 33.33평 정도로 어림셈이 가능하다.

 

3. 대출한도

 

  ㅇ 3단계:

   - 지역 및 가구별로 대출한도가 정해져있으며, 연간소득 산정방법 등의 방법이 나와있으니 구간에 따라 적절하게 계산하여야 한다. 이 단계까지 모두 검토하여 충족한다면 마지막으로 대출금리가 정해진다.

 

4. 대출금리

 

   ㅇ 4단계:

    - 금리우대 및 추가우대금리를 포함하면 버팀목전세자금 대출의 이자율이 하락한다. 정책의 한가지 아쉬운 점은 리 1%대를 받을 수 있는 경우는 낮은 구간의 소득+추가우대금리가 충족되어야만 한다. 아래에서 살펴보겠지만 무주택의 부부나 청년이 소득이 가장 낮은 구간인 2천만원 이하라 가정하고, 전세자금 2억원을 버팀목전세자금대출을 통해 최저 1%의 금리로 대출을 받는다 하더(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예상된다.)라도 이자비용이 월17만원(연204만원) 수준이다. 즉, 소득의 약10%를 오로지 전세자금대출 이자비용으로 쓴다는 것이고, 다시 말하면 월167만원 소득에서 이자비용을 제하면 150만원으로 생활을 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주거 이외에도 식비, 통신비, 교통비, 기타지출까지 감안하면 갈길 바쁜 신혼부부들 또는 청년들이 자산에 대한 투자가 전혀 없는 저 구간의 정책자금을 과연 효과적으로 쓸 수 있을지 의문이며, 저 자금을 통해 어떠한 자산증식이 발생되기란 참 쉽지 않아보이기도 하다.

 

4-1. 소득별 월 이자비용 정리

부부합산 연소득 청년버팀목 전세자금 이용시 이자(금융비용)(월) 일반 전세자금 대출
(이자율 3.8% 가정)
5천만원 7천만원 / 1억원 2억원 ㅇ5천만원
   - 15만8,333원

ㅇ7천만원
   -  22만1,667원

ㅇ1억원
   - 31만6,667원

ㅇ2억원
   - 63만3,333원
~2천만원 이하 8만7,500원 12만8,333원 / 18만3,333원 38만3,333원
2천만원 초과
~4천만원 이하
9만5,833원 14만원 / 20만원 41만6,667원
4천만원 초과
~6천만원 이하
10만4,167원 15만1,667원 / 21만6,667원 45만원
6천만원 초과
~7.5천만원 이하
11만2,500원 16만3,333원 / 23만3,333원 46만6,667원

  ※ 우대금리 및 추가우대금리 미적용

 

   ㅇ 연소득 구간별/대출금액별 월 이자비용을 정리해보았다. 일반전세자금 대출 이자율 3.8%임을 고려하면 연간 차이나는 금액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저렴한 비용을 최대의 자금을 조달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세자금대출의 이자는 순수 비용에 가까우므로 자신이 예산에 알맞게 대출금리를 계산하여 접근하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

 

4-2. 정책지원 대출 이용시 이자비용 절감금액

대출금액 절감금액 범위(월) 절감금액 범위(년)
5천만원 45,833원 ~ 70,833원 549,996원 ~ 849,996원
7천만원 58,334원 ~ 93,334원 700,008원 ~ 1,120,008원
1억원 83,334원 ~ 133,334원 1,000,008원 ~ 1,600,008원
2억원 166,666원 ~ 250,000원 1,999,992원 ~ 3,000,000원

    

   ㅇ 버팀목전세대출 금액에 따라 일반전세자금대출 이자비용과 비교하여 절감금액의 범위를 산출하였다. 보통 최소 2년단위의 전세를 사는 것이 일반적인 것을 생각하면 절감금액 범위(년)에서 2배를 하면 산출되고, 년 최대 약100만원~600만원까지 차이가 나는 것을 숫자로 접하면 매우 크게 다가온다. 2년간 600만원이라면 연간300, 월30만원을 다른 비용에서 줄여야만 가능한 것인데 그것이 살아보면 참 쉽지가 않다는 점이다.

 

5. 이용기간

   ㅇ 버팀목전세대출의 상품 이용기간은 최대 10년까지 가능하다. 한국은행의 금리 변동에 따라 일반 전세자금 대출 이자율도 계속해서 변동하겠지만, 거기에 맞추어 정책자금의 금리도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 갭을 유지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주택을 마련과 예산의 계획을 수립하여 적절히 대응해 나가야할 걸로 생각된다.

반응형